Saturday, December 5, 2020

대중 부유층 대출자 10명 중 2명 이상은 빚투 - 아주경제

timpahbatu.blogspot.com

[사진=연합뉴스]


가구 소득이 상위 10~30%에 속하는 '대중 부유층'은 평균 1억3000만원의 대출을 보유하고 있고, 대출자 10명 중 2명 이상은 대출금을 투자자금으로 활용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중부유층의 평균 자산은 7억6500만원이며, 이 중 보유 부동산의 평균 가치가 6억원이었다. 대중부유층은 앞으로 주식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우리금융그룹 산하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와 디지털 금융 이용 행태'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가구 소득이 상위 10~30%에 해당하는 가구를 '대중 부유층'이라고 정의내렸다. 연소득(세전) 7000만원 이상 1억2000만원 미만인 가구가 해당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중부유층의 68.5%가 대출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의 평균 대출 잔액은 1억3270만원이다. 대출 보유자 중 44.2%는 주택담보대출(평균 잔액 1억3430만원)을 이용 중이고, 전세자금대출(1억2220만원)과 신용대출(5300만원) 이용자는 각각 7.2%, 29.0%였다.
 

[자료=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출 목적은 주거문제 해결(33.7%)과 생활비 사용(23.8%)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22.8%는 투자자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대중부유층의 대출 보유자 10명 중 2명 이상이 이른바 '빚투'(빚내서 투자)에 나선 것이다.

대중부유층의 평균 총자산은 7억6500만원,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은 6억463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보유 부동산의 평균 가치는 6억930만원, 금융자산은 1억2590만원이다.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중은 각각 76.6%, 18.9%다.

대중부유층 내에서도 자산 보유액이 클수록 부동산 자산 비중이 높고, 수도권 응답자의 부동산 비중이 타 지역 대비 높았다. 총자산이 3억원 이하인 그룹에서 부동산 비중은 68.7%로 가장 낮았으나, 15억원 초과 자산을 보유한 그룹에서는 83.5%를 나타냈다. 또 서울과 경기 지역의 부동산 비중은 80%에 육박했지만, 기타 지역의 부동산 비중은 71.1%였다.

대중부유층은 앞으로 부동산자산 비중을 현재 76.6%에서 64.9%로 줄이는 대신, 금융자산을 18.9%에서 26.3%로 늘리겠다고 응답했다. 금융자산 중에서는 주식 투자 비중을 15.4%에서 17.1%로 확대할 것이라고 답했다. 예적금 비중은 45.0%에서 42.3%로, 개인연금도 19.1%에서 18.8%로 각각 축소할 계획이다.

대중부유층이 생각하는 노후의 월 필수생활비는 225만원(가구 기준), 필수생활비를 포함한 여유생활비는 374만원이었다. 응답자의 91.5%는 예상소득으로 필수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고, 57.0%는 여유생활비까지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노후 준비 정도를 자가평가한 '노후 준비스코어'는 5점 만점에 평균 3.5점으로 나타났다. 가족과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줬지만, 경제적 준비도에는 낮은 점수를 부여했다.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대중 부유층 대출자 10명 중 2명 이상은 빚투 - 아주경제 )
https://ift.tt/2L3TZ6A
비즈니스
Share:

Related Posts:

0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