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형 재정준칙' 도입 추진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기획재정부가 12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를 보면 올해 8월까지 재정 총수입은 317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조8000억원 줄었다. 정부 수입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세금은 1~8월 192조5000억원 걷혔다. 전년 동기 대비 17조원 감소했다.
8월만 놓고 보면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수입은 늘고, 법인세는 줄었다. 코로나19 대응 등을 위한 정부의 세정지원액 중 일부가 납부되면서 소득세가 3조2000억원 증가했다. 수출이 줄어들며 부가세 환급액도 함께 줄어 부가세 수입은 5000억원 늘었다. 기업 실적은 나빠지면서 법인세 9000억원이 덜 걷혔다.
씀씀이는 더 커지고 있다. 8월까지 정부 지출은 388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조8000억원 늘었다. 8월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을 줄이기 위해 청년 일자리 지원, 구직급여, 고용유지지원금 등으로 지출이 늘며 작년보다 2조원을 더 썼다.
정부가 벌어들인 돈에서 쓴 돈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70조9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여기서 국민연금·고용보험 기금 등 사회 보장성 기금의 수지를 빼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황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96조원 적자를 찍었다. 지난달 국회를 통과한 4차 추경으로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18조6000억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연이은 추경과 함께 나랏빚도 커졌다. 8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794조1000억원이다. 4차 추경까지 반영하면 국가채무는 846조9000억원으로 불어난다. 국내총생산(GDP)의 43.9% 수준이다.
재정 적자와 채무가 늘어나는 속도를 본 정부는 재정준칙을 도입해 재정건정성을 관리하고 재정 여력을 쌓겠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60%, GDP 대비 통합재정수지 비율 –3%를 기준으로 하는 재정준칙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기재부는 “지난 8월에는 총지출 증가보다 총수입 증가가 크게 나타나 수지 흑자를 실현했다”며 “연말까지 4차 추경 당시 전망한 수준으로 관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종=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기사 및 더 읽기 ( 세금 17조 덜 걷히는데 지출 40조 늘려…8월 재정적자 96조원 - 중앙일보 - 중앙일보 )
https://ift.tt/33Q6jP2
비즈니스
0 Comments:
Post a Comment